2017년 7월 3일 월요일
2017년 6월 18일 일요일
객관적 관점과 주관적 관점
"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."
인용하기에 씁쓸한 문장이지만, 어떠한 상황에 대해 일반적으로 대하는 태도를 잘 묘사해 주고 있다.
내 일에는 작은 감정까지 전달이 되며 작은 일도 크게 느껴지지만, 남의 일엔 간혹 한톨만큼의 감정도 들어 가지 않게 그 일을 바라 본다.
이것은 비단 사람의 본능적인 인식의 선택이라 여겨지지만, 우리가 건강하게 삶을 살아가기 위해 의식적으로 그 태도를 반대로 해 보는건 어떨까?
내 일은 최대한 감정을 빼고 객관적으로, 남의 일은 마치 내 일처럼.
공감!
공감하는 사람은,
분별없이 자의식을 내던지고 다른 사람의 경험에 빠져드는 법이 없으며,
그렇다고 이기적인 목적으로 정보를 얻기 위해
다른 사람의 경험을 냉정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하려 들지도 않는다.
-- 제러미 리프킨, 『공감의 시대』中
2017년 6월 14일 수요일
2017년 6월 7일 수요일
2017년 3월 7일 화요일
2017년 1월 13일 금요일
2016년 11월 29일 화요일
한 걸음 더 나아간다는 것은.
‘생각하는 것만큼 볼 수 있고, 보는 것만큼 생각할 수 있다’ 라고 한다.
매일 결정을 내리고, 행동을 하는 바탕에는
스스로의 생각할 수 있는 범위가 작용한다.
결정을 할 때마다 스스로의 생각 범위 내에서 하기에, 지금 내리는 결정들이 옳은 결과를 가져올지는 예측할 수 없다.
그렇기 때문에 한걸음 더 나아가는 결정을 했을 때, 예상하지 못한 좋은 결과들이 기다리고 있어 기쁨의 환호를 외치기도 하지만, 반대로 안 좋은 결과들이 있기에 반성하기도 한다.
사람의 마음이라는 것은 신기한 구석이 있다.
어느 때에는 정말 하기 싫은 일이, 또 어느 때에는 하고 싶은 일이 되어 있기도 하다.
그렇게 자기가 내린 결정에 책임을 지고,
결정했던 일들이 차곡차곡 쌓여 넓고 깊어지는 생각의 크기를 바탕으로 또 다른 결정을 내린다.
무엇을 위해 한 걸음 더 나간다는 것이,
부족함을 채워가는 발걸음인지, 욕심을 부리는 발걸음인지.
매일 결정을 내리고, 행동을 하는 바탕에는
스스로의 생각할 수 있는 범위가 작용한다.
결정을 할 때마다 스스로의 생각 범위 내에서 하기에, 지금 내리는 결정들이 옳은 결과를 가져올지는 예측할 수 없다.
그렇기 때문에 한걸음 더 나아가는 결정을 했을 때, 예상하지 못한 좋은 결과들이 기다리고 있어 기쁨의 환호를 외치기도 하지만, 반대로 안 좋은 결과들이 있기에 반성하기도 한다.
사람의 마음이라는 것은 신기한 구석이 있다.
어느 때에는 정말 하기 싫은 일이, 또 어느 때에는 하고 싶은 일이 되어 있기도 하다.
그렇게 자기가 내린 결정에 책임을 지고,
결정했던 일들이 차곡차곡 쌓여 넓고 깊어지는 생각의 크기를 바탕으로 또 다른 결정을 내린다.
무엇을 위해 한 걸음 더 나간다는 것이,
부족함을 채워가는 발걸음인지, 욕심을 부리는 발걸음인지.
피드 구독하기:
글 (Atom)